본문 바로가기

언어

[히브리어 창세기4] 창세기 1장 6절과 윌리엄 블레이크 (William Blake)의 《태고의 날들(The Ancient of Days)》

오늘은 창세기 1장 6절을 공부하고, 시인이자 화가 그리고 예언자적 예술가였던 윌리엄 블레이크의 그림 《태고의 날들(The Ancient of Days)》을  감상하며 창조 때의 모습을 상상해 보려고 합니다.  

 

                                                 

                                                                ← 

וַיֹּאמֶר אֱלֹהִים יְהִי רָקִיעַ בְּתֹוךְ הַמָּיִם וִיהִי מַבְדִּיל בֵּין מַיִם לָמָיִם׃

(와요멜 엘로힘 예히 라키아 베토크 함마임 위히 맙딜 벤 마임 라마임)

 

창세기
16
וַיֹּאמֶר אֱלֹהִים יְהִי רָקִיעַ בְּתֹוךְ הַמָּיִם וִיהִי מַבְדִּיל בֵּין מַיִם לָמָיִם׃ 
한국어
(천주교)
하느님께서 말씀하셨다. “물 한 가운데 궁창이 생겨, 물과 물 사이를 갈라놓아라.” 생겨는 창조의 수동적 이미지 강조
한국어
(개신교)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눠라 하시고 있어는 존재 강조, “나눠라는 능동적
영어
(KJV)
Then God said, “Let there be a firmament in the midst of the waters, and let it divide the waters from the waters.” Let 명령법: 창조의 명령을 문학적으로 전달,궁창을 firmament 견고한 물체’로 번역
헬라어
(70인역)
Καεπεν θες Γενηθτω στερωμα ν μστοῦ ὕδατος καὶ ἔστω διαχωρζον νμσον δατος καὶ ὕδατος. καὶ ἐγνετο οτως. 궁창을 στερέωμα.(스테레오마: 견고한 것, 구조물)로 번역
라틴어 Dixit quoque Deus: Fiat firmamentum in medio aquarum: et dividat aquas ab aquis. fiat: “있어라!” 하나님의 권위 강조
히브리어 וַיֹּאמֶר אֱלֹהִים יְהִי רָקִיעַ בְּתֹוךְ הַמָּיִם וִיהִי מַבְדִּיל בֵּין מַיִם לָמָיִם׃ יְהִי רָקִיעַ (예히 라키아: 궁창이 있어)
존재 창조 + 역할 부여의 이중성 내포

                                                         

 

                                                                                               ← 

וַיֹּאמֶר אֱלֹהִים יְהִי רָקִיעַ בְּתֹוךְ הַמָּיִם וִיהִי מַבְדִּיל בֵּין מַיִם לָמָיִם׃

וַיֹּאמֶר ② אֱלֹהִים ③ יְהִי ④ רָ קִיעַ ⑤ בְּתֹוךְ ⑥ הַמָּיִם ⑦ וִיהִי ⑧ מַבְדִּיל ⑨ בֵּין ⑩ מַיִם ⑪ לָמָיִם׃

라마임마임맙딜위히함마임베토크라키아예히엘로힘와요멜

물로나뉘게하리라가운데궁창이있어하느님이이르시되

 

(와요멜 엘로힘예히라키아베토크함마임위히맙딜마임라마임)

 

 

<단어별 분석>

 

וַיֹּאמֶר (와요멜)

형태: 동사, 미완료형 칼 (Qal), 3인칭 남성 단수

의미: "말했다"

구성: ו  ( 접속사 “그리고” ) + יֹּאמֶר ( "그가 말하다" )

전체 의미: "그리고 말씀하시기를"

 

אֱלֹהִים (엘로힘)

명사, 복수형이지만 단수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하느님'을 지칭

의미: "하느님"

 

יְהִי (예히)

동사, 미완료형 칼 (Qal) 명령형

의미: "있어라", "있으라" (Let there be)

 

רָקִ֫יעַ (라키아)

명사, 남성형

의미: "궁창", "창공", "하늘"

어근 ר־ק־ע (רקע) 펴다, 두드리다

어간 의미 두드려 펼친 것 금속판처럼 단단하고 평평한 공간

어미/형태 -ִ֫יעַ (명사형) 구조물, 존재

전체 의미 펴져 있는, 또는 두드려서 만들어진 하늘 구조물궁창, , 창공

 

בְּתֹוךְ (베토크)

전치사 בְּ ("~안에") + 명사 תֹוךְ ("가운데")

의미: "~의 가운데에"

 

הַמָּ֑יִם (함마임)

정관사 הַ ("the") + מים ("")

의미: "그 물"

 

וִיהִ֣י (위히)

ו ( 그리고) + יְהִי ( 미완료형 칼: "있으라" )

의미: "그리고 있게 하라"

 

מַבְדִּ֔יל (맙딜)

분사형 히필(Hiphil) 남성 단수

의미: "분리하는 자", "나누는 것"

어근 ב-ד-ל (badal) = "구별하다", "분리하다"

מַ־ 히필 분사의 접두어

בְּ־דִּיל 어근 ב־ד־ל 에 히필 강세 변형 적용

전체 뜻 분리하게 하는 자/” = 분리자, 나눔자 (중간 역할),

즉 궁창이 나누는 존재임을 강조

 

בֵּ֥ין ()

전치사

의미: "사이", "사이에"

 

מַ֖יִם (마임)

명사 (복수형 형태이지만 단수 취급)

의미: ""

 

לָמָֽיִם (라마임)

לְ ( ~에, ~을 향해 ) + המים ( "물", 정관사 포함된 형태  )

의미: "다른 물에", "물과"

מַיִם 아래쪽 물

לָמָֽיִם 위쪽 물 (전치사 לְ가 방향/대조를 암시)

 

 

<고대 근동의 우주관>

 

[ 위의 물 ] 구름,

────────────

궁창  רָקִ֫יעַ (라키아)

────────────

[ 아래의 물 ] 바다,

[ ]

 

히브리어 성경 시대의 사람들은 세상을 위와 같이 이해했다고 합니다. 궁창은 하늘을 덮고 있는 돔 구조로위의 물을 막고 땅에 질서를 제공합니다

.

이 개념은 고대 바빌론, 수메르 신화와  유사한 요소도 있지만, 하느님 한 분이 말씀으로 창조하신다는 점이 성경만의 고유한 관점입니다. 이렇게 하느님은 혼돈 속에 질서를 부여하고 각 존재에 기능적 목적을 부여하시는 분으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윌리엄 블레이크 (William Blake, 17571827)

태고의 날들  《The Ancient of Days》

 

 

윌리엄 블레이크(William Blake, 1757–1827)는 영국의 시인이자 화가, 판화가로, 상상력과 신비로운 상징들로 가득한 예술 세계를 창조한 인물입니다. 그는 인간 존재, 선과 악, 창조와 파괴의 문제를 시와 그림을 통해 깊이 있게 탐구했으며, 대표작 《순수와 경험의 노래》에서는 순수한 영혼과 타락한 세계를 시적으로 대비시켰습니다. 그의 그림 《태고의 날들 The Ancient of Days》는 신이 컴퍼스를 들고 우주를 설계하는 장면을 담은 작품으로, 창세기의 창조 장면을 환상적으로 재해석한 걸작입니다. 

스티븐 호킹의 책 『하느님이  정수를 창조하셨다 』 표지

 

이 그림은 현대에도 큰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이 자신의 책 『하느님이  정수를 창조하셨다 God Created the Integers』(2005) 』 의 표지로 이 그림을 사용한 것이 대표적입니다. 호킹은 이 책에서 역사 속 위대한 수학자들의 사상을 소개하며, 블레이크의 그림을 통해 수학과 우주 질서의 근원을 창조적 이미지로 연결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스티브 잡스 역시 블레이크의 상상력과 “지각의 문이 정화된다면, 모든 것은 무한하게 보일 것이다”라는 말에 깊이 매료되어, 그의 사고방식과 창조 철학에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 생전에는 오해받고 외면받았지만, 윌리엄 블레이크는 지금도 예술가와 과학자, 철학자, 혁신가들에게 영감을 주는 시대를 초월한 예술가이자 예언자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윌리엄 블래이크

 

 

1757 런던에서 출생

1767 10세에 천사 환시를 보았다고 말함

1772 15세에 판화공인 제임스 배설(James Basire)의 견습생으로  들어감

1779 왕립미술학교(Royal Academy) 입학

1782 캐서린 보셔(Catherine Boucher)와 결혼

1783 첫 시집 시인의 스케치(Poetical Sketches)자비 출판

1789 – 《순수의 노래(Songs of Innocence)발표

1794 – 《경험의 노래(Songs of Experience)발표, 순수와 병합

17951804 – 《유리젠의 서 The(Book of Urizen), 아메리카 예언(America: A Prophecy)등 예언서 시리즈 제작

1804 자비 출판 시도, Jerusalem등 집필 시작

1827 사망 (69), 생전엔 무명이나 후에 천재로 재조명

2005 그의 그림 《태고의 날들(The Ancient of Days)》이 스티븐 호킹의 저서 하느님이  정수를 창조하셨다 (God Created the Integers)』의 표지로 사용됨

 

 

 

 

 

 

[참조] 히브리어 발음기호표가 포함되어 있는 게시글  

☞ 2025.03.31 - [언어] - [히브리어 창세기2] 창세기 1장 3절과 하이든의 오라토리오 《천지창조》

 

[히브리어 창세기2] 창세기 1장 3절과 하이든의 오라토리오 《천지창조》

창세기에서 두 번째로 선택한 절은 3절입니다. 히브리어 읽기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וַיֹּאמֶר אֱלֹהִים יְהִי אֹור וַיְהִי־אֹור׃ (와요멜 엘로힘 예히 오르 와예히-오

ashrei.tistory.com